KOR | ENG

TALK with SPI

숙박업의 리스크 관리

2021. 11. 25 · 함은광
0

숙박업의 변동성이 큰 현금흐름과 정교하게 분업화된 가치사슬을 안정적으로 구축하고 유지해가는 데 있어 데이터가 갖는 효용성을 필자의 경험에 비추어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숙박업 데이터가 효용성을 발휘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들을 짚어본다.

 

👉 숙박업과 데이터의 활용 모아보기

유학 시절 기업재무 과목 담당 교수가 ‘리스크(risk)를 한자로 쓰면 위험(危)이라는 의미와 기회(機)라는 의미가 동시에 들어있다’고 했던 기억이 선명하다. 유태인 교수가 재무 이론을 한자로 풀어 설명하는 것이 생경하기는 했지만 그 동안 막연하게 회피의 대상으로만 생각했던 리스크라는 단어를 다른 관점에서 바라보기 시작했던 계기였던 것 같다. 리스크의 사전적 의미는 ‘위험에 노출된 상태’를 의미하는데 이를 재무적 측면으로 좁혀서 보면 ‘투자의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수 있는 가능성’을 의미한다. 사실 리스크의 요인이 전적으로 내부에 있다면, 이를 적절하게 통제하여 성과를 기대에 맞추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바꾸어 말하면 대부분의 리스크 요인들이 직접 통제할 수 없는 외부의 환경, 즉 시장에 존재하기 때문에 리스크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수많은 시장 참여자들 중 하나로서 직접 통제할 수 없는 리스크의 […]

로그인 후 열람 가능합니다.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멤버십 전용 콘텐츠의 경우 추가로 SPI 멤버십 구독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