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 | ENG

TALK with SPI

디벨로퍼의 숙박업 데이터 활용

2021. 09. 11 · 함은광
0

숙박업의 변동성이 큰 현금흐름과 정교하게 분업화된 가치사슬을 안정적으로 구축하고 유지해가는 데 있어 데이터가 갖는 효용성을 필자의 경험에 비추어 살펴보고, 우리나라의 숙박업 데이터가 효용성을 발휘하기 위해 필요한 과제들을 짚어본다.

 

👉 숙박업과 데이터의 활용 모아보기

한국전쟁 후 쑥대밭이 되어버린 우리나라가 세계 10대 경제강국으로 성장하는 데는 70년이 채 걸리지 않았고 이 과정에서 산업생산 및 주거 환경이 엄청난 속도로 개선되었다. 1970년대에 정부 주도의 사회간접자본 확충 중심으로 진행되었던 국토 개발은 1980년대 이후 주거 환경 개선으로 확산되었고 민간 부문의 역할이 확대되었다. 정부는 1980년에 시행된 택지개발촉진법을 통해 양질의 주택을 공급하기 위한 기반시설을 제공했고 민간 건설사들은 이렇게 조성된 택지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공급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87년 주택건설촉진법이 시행되면서 조합을 통한 주택 공급 또한 활발해졌다. 한편 새로 조성된 대규모 아파트 단지들을 중심으로 생활권이 형성되면서 노후한 기존 도심에는 공동화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1997년 외환위기는 그나마 도심을 지켜오던 오피스의 가치를 주저앉혔고 해외 자본은 이를 빠르게 쓸어 담았다. 빠른 속도로 외환위기를 벗어난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도시 […]

로그인 후 열람 가능합니다.  회원가입 또는 로그인 해주시기 바랍니다.
멤버십 전용 콘텐츠의 경우 추가로 SPI 멤버십 구독이 필요합니다.